본문 바로가기

불교교리와법문

[고승]기허대사-호국의 기운 탱화 속 오롯이

 

기허대사-호국의 기운 탱화 속 오롯이


서산대사로 널리 알려져 있는 청허당 휴정스님의 제자로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운 조선중기 고승 기허대사(?~1592). 기허대사의 출생연도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조선 중기 경상남도 밀양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님의 본관은 밀양, 속성은 박 씨로 공주 갑사에서 출가해 서산대사 문하에서 수학하다 기허당(騎虛堂)이라는 법호를 받았다. 당시 갑사 청련암에서 선장(禪杖)으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는데, 그 재능을 따를 자가 없었다고 한다.

 

후덕한 모습 웃는 얼굴 ‘이채’

표충원 그림 위엄 가득 ‘대조’



그러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그 해 여름 왜구가 청주지방까지 이르러 청주가 함락됐다. 스님은 이에 분을 이기지 못하고 3일 동안 통곡하고 스스로 승병장이 되었다. 스님의 승병조직은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나는 도화선이 되는 등 역사적으로 의미가 깊다. 승병 1000명을 모집한 스님은 의병장 조헌과 함께 1592년 8월 청주성 전투와 금산 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그러나 금산에 이르러 고바야카와의 일본군과 조헌이 이끄는 의병들이 싸우려고 할 때 스님이 이를 간절히 말렸으나 조헌 등이 듣지 않았다. 스님은 그래도 “조헌을 홀로 죽게 할 수 없다”며 함께 싸우다 같은 해 8월18일 조헌을 비롯한 의병, 승병들과 함께 순국했다.

<사진> 밀양 표충사에 봉안돼 있는 기허대사 진영.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선조가 승전소식을 듣고 영규대사에게 벼슬과 옷을 내렸는데, 스님은 결국 하사품을 받지 못했다. 선조는 스님의 법구를 계룡산 아래의 서산(栖山)에 안치하고, 그 곁에 충절비각을 세워 봄, 가을로 제사 지냈다고 한다.

이러한 스님의 진영은 밀양 표충사와 공주 갑사에 봉안돼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들 진영의 특징은 스님의 행장에서 알 수 있듯이 임진왜란 당시 호국불교에 앞장 선 서산대사, 사명대사와 함께 모셔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표충사에 봉안돼 있는 기허대사의 진영은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다른 고승의 진영 25폭과 탱화 1폭 등과 함께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268호로 일괄 지정됐다. 비단바탕에 채색돼 있는 이 진영은 식물성 천연고무 재질의 당채를 사용하였으며,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스님은 후덕하게 생긴 얼굴에 약간 웃음을 띤 모습을 하고 있으며, 진영 아래에는 허주당 덕진, 응허당 포문, 덕암당 영휘, 기허당 무경 대선사, 보봉 대선사, 순화 대선사, 대응당 대선사, 등운당 대선사, 진속쌍융 보명거사 유천혁 등 보석사에서 수도 정진했던 10명의 선사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이와 함께 문화재자료 52호로 지정돼 있는 갑사 표충원에도 기허대사의 진영이 서산대사, 사명대사와 함께 봉안돼 있다. 이 진영은 온화한 모습을 표현한 표충사 진영과 달리 날카로운 눈매, 건장한 체격 등 승병장으로 위품을 가늠할 수 있도록 그려져 있어 대조를 이룬다.

허정철 기자



[불교신문 2442호/ 7월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