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교리와법문

[고승]초의 의순스님 - ‘茶聖’ 명성, 그림 속에도 ‘오롯’

 

초의 의순스님 - ‘茶聖’ 명성, 그림 속에도 ‘오롯’


조선후기 대선사이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지는 초의 의순(草衣意恂, 1786~1866) 스님. 우리에게는 초의선사로 더욱 잘 알려진 스님은 해남 대흥사의 중진으로 한문과 문장에도 능해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와 같은 당대 유명한 사대부들과 이름을 나란히 한 조선후기 대표적인 고승이다.

당대 유학자들과 茶 - 詩 등 교분

주전자 향로 등 다구 등장 ‘눈길’


초의스님은 1786년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에서 태어났다. 당시 병조판서 신헌의 ‘초의선사탑비명’에 따르면 어머니가 큰 별이 품에 들어오는 꿈을 꾸고 스님을 잉태했다고 한다. 그런 인연이었을까.

다섯 살 때 강가에서 놀다가 급류에 떨어져 죽게 되었을 때 마침 부근을 지나던 스님에 의해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스님은 결국 16세 되던 해 나주군 운흥사에서 민성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이후 대흥사에서 민호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받고 ‘초의’라는 법호를 받은 초의스님은 22세 이후로 전국의 선지식을 찾아가 가르침을 얻었다.

<사진> 용인 태평양박물관에 봉안돼 있는 초의스님 진영.

스님은 선지식 이외에도 1809년 강진에서 유배생활 중이던 다산 정약용을 찾아 유서와 시문을 익혔다. 또 1815년에는 한양에 올라가 추사 김정희 등과 친분을 유지했다. 당시 이들과의 차와 시, 서화를 통한 교분은 진지하게 평생 동안 지속됐다.

말년에는 두륜산 인근 암자에서 수행과 후학양성에 매진했던 스님은 1866년 8월2일 세수 81세, 법랍 65년을 일기로 입적했다. 대흥사에서 배출한 13명의 대종사 가운데 마지막으로 꼽히는 스님이 열반에 들었다. 스님은 저서로 <일지암시고>. <일지암문집>, <진묵조사유적고>, <초의선과>, <선문사변만어>, <동다송>, <다신전> 등을 남겼다.

초의스님의 진영은 용인 태평양박물관에 모셔져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 진영은 구도면에서 다른 작품과 다른 점이 많다. 주인공이 찬문이 화면의 오른쪽 또는 왼쪽 끝에 아래위로 기다란 직사각형으로 이뤄진 구획 안에 들어가 있지 않고 화면 위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에 가득 배치된 것은 다른 진영에서 거의 볼 수 없는 형식이다. 또 주인공도 의자 없이 바닥에 깐 돗자리 위에 앉아 있는데, 왼손으로 주장자 대신 금강저를 잡고 있는 것도 여느 진영에서는 보기 힘들다.

보통 진영 속 스님 앞에 있을 법한 서안이 없고, 이보다 높은 탁자가 오른쪽에 놓여있다. 탁자 위에는 책 두 질이 아래위로 포개져 있고, 그 옆에 주전자와 향로 등 다구가 놓여 있는 점도 눈에 띈다. 일반 진영에서 볼 수 없는 다구가 등장한 것은 다성으로 평가받았던 스님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초의스님의 진영은 19세기 중후반 고승진영의 새로운 형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귀중한 자료라 할만하다.

허정철 기자 hjc@ibulgyo.com


[불교신문 2468호/ 10월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