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日 月 年<적천수事例 92>
辛 甲 癸 丁
未 子 丑 亥
丁 戊 己 庚 辛 壬
未 申 酉 戌 亥 子
甲子日元, 生于丑月, 支類北方, 天干辛癸, 官印元神發露, 剋去丁火, 丑未遙隔, 又水勢乘權, 不能沖丑, 正得中和之象, 所以土金水運, 皆得生化之情, 早遊泮水, 戰勝秋闈, 祇因格局淸寒, 仕路未居顯秩, 芹泮日長鳴孔鐸, 杏壇春煖秦虞絃也. 前則逢沖, 官印兩傷, 名利無成, 此則不動, 名成利遂, 可知墓庫逢沖必發者, 謬也.
[정단註]
辛 甲 癸 丁
未 子 丑 亥
56 46 36 26 16 6
丁 戊 己 庚 辛 壬
未 申 酉 戌 亥 子
指數法에 의하면 수6.4로 종주왕신이고 水體木用으로 木水印比格이 되니 印星인 亥수가 용신이 된다. 亥中甲壬이 있어 格을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亥수가 용신이니 木方운이 대길하고 火는 약신이 되고 金은 희신이 된다. 土는 格과 用神을 거슬리니 忌神이 된다.
초년 壬子대운에는 格과 用神이 생을 받으니 명문 국립학교에 입학하고 辛亥대운에 발복하니 고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토운이 들어오고 수를 생하지 못하는 금운이 들어오면 금은 한신역할을 하므로 한직에서 세월을 보내며 풍류를 즐길 수밖에 없었다.
亥中壬수는 丁화와 합하고 亥中甲목은 丑中己토와 합하니 승승장구하지 못하고 한직에 오래 머물게 된다. 그래서 자리도 남이 알아주는 직책이 아니라 자리를 지키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용신이 약간 탁하기 때문이다.
印比格은 배움을 통하여 금전적인 것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비금전전인 행복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돈을 의식하면 오히려 비참해진다. 印比格은 선비나 학자가 제격이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천수事例>격과 용신(格과 用神)/대운(大運) (0) | 2020.06.14 |
---|---|
적천수事例>火體水用 /火木印比格 (0) | 2020.06.07 |
적천수事例> 탐재괴인(貪財壞印)/財多身弱 (0) | 2020.05.24 |
적천수事例> 습을상정( 濕乙傷丁)/ 묘축격각(卯丑隔角)/ 약신(藥神)운에 발복 (0) | 2020.05.17 |
적천수事例> 화재로 가족과 재물을 잃어버린 사주 (0)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