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학강좌

적천수事例> 습을상정( 濕乙傷丁)/ 묘축격각(卯丑隔角)/ 약신(藥神)운에 발복

時 日 月 年<적천수事例 90>

己 乙 癸 丁

卯 卯 卯 丑

丁 戊 己 庚 辛 壬

酉 戌 亥 子 丑 寅

乙卯日, 生于卯月卯時, 旺之極矣. 最喜丁火獨發, 洩氣精英, 惜癸水剋丁, 仍傷秀氣, 時干己土臨絶, 不能去其癸水, 因之書香不繼 ,初中運逢水木之地刑喪破耗, 家業漸消, 戊戌丁運, 大遂經營之願, 發財巨萬, 若以飛天祿馬論之, 則戊戌運, 當大破矣.

 

 

 

[정단註]

 

 

己 乙 癸 丁

卯 卯 卯 丑

 

53 43 33 23 13 3

丁 戊 己 庚 辛 壬

酉 戌 亥 子 丑 寅

 

指數法에 의하면 木이 宗主임이 분명하니 木體金用으로 금을 찾는다. 금이 없어 토를 찾으니 丑토와 己토가 있고 丁화가 있어 通力이 충족되므로 土火用組운을 반기고 그중에 火가 용신이고 土는 약신이 된다. 子운과 亥운을 거치면서 용신인 화를 극상하게 하니 운이 막혀 할 수 있는 일이 제대로 없어 가산이 소진되었으나 戊戌,丁운에 화용신을 구조하는 약으로 도우니 재물이 수만금을 벌어들인다. 용신은 천간은 천간대로 지지는 지지대로 구분하여 봐야 한다. 특히, 토는 주의를 해야 한다. 임철초도 격국에 대하여 철저히 비판한다. 비천녹마격이니 하는 특수격은 허무맹랑함을 지적하고 있다.

卯목은 습목으로 濕乙傷丁으로 정화를 살리지 못한다. 더구나 癸수가 이웃에서 극하니 秀氣가 발현되지 못하여 글재주를 발휘하지 못했다. 초운인 辛丑, 庚子대운에 형상파모를 겪고 가업이 기울었다. 그러나 戊戌대운에 임하면 무토는 계수를 제거하고 묘술은 화를 만드니 용신이 일발여뢰로 살아나 발복하니 사업마다 성공을 거두어 수만금을 벌어 들였다. 원국은 탁하여 벼슬을 하지 못하나 운에서 약신과 용신을 만나면 발복하여 부를 쌓게 되기 때문이다.

25세는 庚子대운 辛丑년에 임하니 관살이 을목을 치고 정화용신은 절지로 향하여 자묘형으로 질병고와 곤궁이 극에 달하니 부친을 잃고 가산은 멸하게 된다. 卯丑의 격각살이 동하여 부친에 해당하는 丑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