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학강좌

적천수事例> 서예가 사주

時 日 月 年<적천수事例 88>

甲 癸 丙 辛

寅 卯 申 卯

庚 辛 壬 癸 甲 乙

寅 卯 辰 巳 午 未

此亦以申金爲用, 以丙火爲病, 與前只換一寅字, 不但有病無藥, 而且生助病神, 彼則靑錢萬選, 名利兩全,

此則機杼空抛, 守株待免, 更嫌寅申遙沖, 卯木助之, 印綬反傷, 木旺金缺, 且月建乃六親之位, 未免分荊破斧, 

 資財耗散, 惟壬運幫身去病, 財源稍裕, 辛卯庚寅, 東方無根之金, 功名未能進取, 家業不過小康, 然格正局眞,

印星秉令, 所以襟懷曠達, 八斗才誇, 爭似元龍意氣, 五花筆吐, 渾如司馬文章, 獨嫌月透秋陽, 難免珠沉滄海,

順受其正, 莫非命也.

 

 

 

[정단註]

 

甲 癸 丙 辛

寅 卯 申 卯

 

58 48 38 28 18 8

庚 辛 壬 癸 甲 乙

寅 卯 辰 巳 午 未

 

指數法에 의하면 木이 宗主임이 분명하니 木體金用으로 辛금이 용신이다. 습토는 희신이고 水는 약신이 된다. 원국에 기신이 있고 원국에 기신을 잡아주는 水는 약신이 된다.

辛금용신을 극하는 丙화가 있는데 癸수가 제살하여 줄 때는 貴하나 時가 동하는 시기는 癸수는 甲목을 생하여 주니 귀가 손상된다. 申中庚금도 을경암합을 하지 못하여 목생화로 기신이 강화되니 흉액이 동하게 된다. 그래서 계운에 좋았고 巳운에 寅巳申三刑으로 沖刑出된 병화는 신금과 함께 사라지니 가산이 풍지박산이 되었다. 丙화는 재성이고 처에 해당하는데, 丙辛합으로 함께 사라지기 때문이다. 丙火殺을 제살하는 임운에 발복하여 辛운까지 이어지니 풍족하게 재복을 누리다가 금용신이 絶하는 卯운에 공명으로 나가지 못하고 운이 막히다가 庚운에 운이 열고 寅운에 인신충형으로 운이 다시 막혀 길흉이 상반하였다. 己운부터 안정적으로 발전하여 안전과 풍족을 누렸다.

병화기신이 동하는 16,17세는 丙午, 丁未년의 기신이 용신을 극하고 卯未합목으로 生火를 하니 가난 때문에 가족과 헤어지는 이별고를 겪었다. 그러나 壬운에는 病을 극하고 身을 도우니 경제적으로 넉넉하였으며, 辛卯·庚寅운은 동방에서 뿌리를 얻지 못하는 금이니 功名의 길이 답답하고 막히었다. 금용신은 인묘에 절에 들기 때문이다. 丙辛합으로 化殺이 되고 癸수로 인하여 制殺이 되니 貴함이 건재하여 뜻과 이상이 깊고 넓었으며 배움이 깊어 붓으로 토해내는 재주는 일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