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日 月 年<적천수事例 91>
甲 甲 癸 丁
戌 辰 丑 未
丁 戊 己 庚 辛 壬
未 申 酉 戌 亥 子
此造支全四庫逢沖, 俗作雜氣財官也. 不知丑未逢沖, 不特官星受傷, 而且沖去庫根, 日主坐下餘氣, 亦是根盤,
更嫌戌沖, 微根已拔, 財多身弱, 且旺土愈沖愈旺, 則癸水必傷, 初運壬子辛亥水旺之地, 蔭芘有餘, 一交庚戌,
財煞並旺, 椿萱幷逝, 刑妻剋子, 己酉戊申土蓋天干, 使金不能生水, 家業破盡, 無子而亡.
[정단註]
甲 甲 癸 丁
戌 辰 丑 未
54 44 34 24 14 4
丁 戊 己 庚 辛 壬
未 申 酉 戌 亥 子
指數法에 의하면 수2.6 목2.4 화1.7 토6.6 금1.0으로 土가 종주왕신이고 태왕하니 剋法取用으로 土體木用이 되고 木水印比格이 되고 그중에 甲목이 用神이 된다. 格과 用神을 살리는 壬운부터 庚운까지 음덕이 풍족하였다. 戌에 임하여 辰戌沖으로 토극수하고 갑목의 뿌리를 상하게 하고 격과 용신을 극파하니 축술미삼형이 토극수를 일으켜 탐재괴인으로 부모를 잃고 형처극자하였다. 己운도 토극수를 하고 갑목을 묶으니 뜻을 펴지 못하고 戊운에 癸수를 가져가 버리니 가업이 파산되고 無子로 사망하였다.
31세는 丁丑년인데, 丑未再沖하고 丁癸剋하니 백호대살이 동하고 월주가 동하여 財生殺을 견디지 못하고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아내도 죽고 자식은 없었다. 食傷이 극상되고 官星이 丑戌未三刑을 당했기 때문이다.
用神을 중심으로 보면 살이 旺하지만 化殺이 되지 않고 制殺도 안된다. 사주가 탁하니 귀한 삶을 살기 어렵다. 게다가 흉살이 중중하니 과욕부리거나 무모하기 쉽고,
財多身弱이니 감당하지 못하는 재물은 재앙이다. 이런 사주의 특징은 공부에 빠져 파고들면 몸이 아프고 천성이 게을러서 공부와는 인연이 없다. 재다신약인 사람은 직장에 들어가도 차분히 돈을 벌기보다는 주식이나 펀드, 기타 돈과 관련된 일을 쉬지 않고 벌인다. 당연히 돈과 관련된 사건사고가 그치질 않는다. 재다신약자는 예쁜 여자를 좋아한다. 그리고 官星에도 치명적이기 때문에 만약에 公職에 있으면 반드시 스캔들로 인한 송사를 겪게 되어 있다. 제비족이 관운이 있기는 어렵고, 관성이 발달한 남자가 여자에게 친절하기는 불가능하다. 偏財는 교육으로도 가르칠 수 없어 가르치려 해도 공염불이 되고 마는 것이다. 원래 편재는 무엇을 배운다는 것에는 의미를 두지 않고, 바로 활용되는 것에 대해서만 의미를 둔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천수事例>火體水用 /火木印比格 (0) | 2020.06.07 |
---|---|
적천수事例>木水印比格(수목인비격) (0) | 2020.05.31 |
적천수事例> 습을상정( 濕乙傷丁)/ 묘축격각(卯丑隔角)/ 약신(藥神)운에 발복 (0) | 2020.05.17 |
적천수事例> 화재로 가족과 재물을 잃어버린 사주 (0) | 2020.05.10 |
적천수事例> 서예가 사주 (0) |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