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日 月 年<적천수사례 111>
壬 戊 甲 癸
子 子 子 酉
戊 己 庚 辛 壬 癸
午 未 申 酉 戌 亥
此四柱皆水, 又得金生, 土衰極者, 似水也. 初逢癸亥, 平甯之境, 壬戌水無根, 土得地, 刑喪破耗, 家業消亡, 辛酉庚申二十年, 大得際遇, 白手發財十餘萬, 己未運破去數萬, 壽亦在未而止.
이 四柱는 地支가 모두 水이며 또한 金이 生하는 것까지 얻어 土가 衰한 것이 極에 다다르니 水와 같다. 初運 癸亥大運은 平安하게 보냈으며 壬戌大運에 水가 뿌리가 없고 土가 地支를 얻으므로 깨지고 살아지는 刑喪을 받고 家業도 살아졌다. 辛酉 ․ 庚申大運 二十年間에 크게 얻을 기회를 만나 빈손으로 十餘萬의 財産을 모으더니 己未大運에 運이 깨지면서 數萬金이 살아지고 壽命 역시 未大運에서 끝이 났다.
<譯評> 이 명조 역시 從財格이다. 앞의 명조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이 財星을 중심으로 金/水/木이 用/喜神이 된다 壬戌大運 乾土인 戌土는 이 財星을 剋하므로 ‘刑喪破耗, 家業消亡’이 되었으나 다시 大運의 德을 보다가 또 己未大運에 乾土인 未土가 들어와 終命이 된 命主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이 명조는 濕土는 無關하나 乾土는 이 강한 水勢를 沖憤시켜 불행하게 되었다. 이 명조 역시 격국론과 정단님의 이론은 생략한다.
계절을 중시하는 조후용신론만 보겠다. 戊土日主는 正月과 二月을 함께 논하고 있다. 즉, 甲木과 癸水가 있고 만약에 丙火로 寒氣를 제하지 못하면 마치 만물이 태어나 자라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丙火가 없는 자는 부귀함을 이루기가 어렵다. 혹 丙火는 있고 甲木과 癸水가 없으면 이름하여 봄 가뭄이 들어 마치 만물이 태어났으나 많은 고통이 있는 것과 같다. 甲木과 癸水가 없으면 일생동안 勤苦하고 수고로움은 있으나 이룸이 없을 것이다. 혹은 한줄기의 丙火가 있고 甲木은 있으나 癸水가 빠지면 초년은 태평하나 말년은 否塞하다. 혹 地支로 火局을 이루고 壬/癸水가 보이지 않으면 중의 길을 가거나 고독하고 가난하다. 癸水가 투출하면 귀함이 있고 壬水가 투출하면 부자가 된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 명조는 甲木과 癸水는 있는데 丙火가 없어 寒氣를 제하지 못하여 만물이 태어나 자라지 못할 명조이나 이 명조는 印綬인 丙火는 從格에는 病이 된다.
[정단註]
時 日 月 年<사례 111>
壬 戊 甲 癸
子 子 子 酉
59 49 39 29 19 9
戊 己 庚 辛 壬 癸
午 未 申 酉 戌 亥
指數法에 의하면 수가 종주왕신이고 극왕함이 분명하니 水體土用으로 토를 구하나 無根으로 토와 화를 버리고 수를 취하게 된다. 子수만 있어 자수가 용신이고 金水傷財格이니 용신과 격을 극상하는 土火運에는 무정하게 패망하게 된다. 그래서 戌운에 토극수하여 형상파모를 겪다 가업이 패망하였다. 그러나 辛酉 庚申 운으로 이어지니 용신과 격을 살리니 상생유정하여 천만금의 자산을 만들었다. 하지만 己대운에 임하자 용신과 운이 상극무정하여 재산이 모두 흩어지고 未운에 사망하였다. 미토는 자수를 모조리 흡수해버리기 때문이다.
壬戌대운은 임수가 뿌리가 없고 화토가 강하니 토극수로 자수가 갇혀버리니 답답한 형국이다. 26세 戊戌년에 戊癸합으로 계수가 상실되고 壬수가 극상을 당하여 천지가 막혀버리니 가업이 패망하였다.
격과 용신을 살리는 辛酉 庚申 20년간은 맨손으로 부를 쌓는 발복운을 누려 천만금을 희롱했다. 食傷生財局을 만들어 손대면 황금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未토에 癸수용신은 入墓하니 재산과 함께 수명도 다하였다. 가정에서는 가족에게 좀 인색하고 바깥에서는 통 큰 씀씀이가 있었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천수 事例 113> 정단註 (0) | 2020.09.27 |
---|---|
적천수事例 112> 정단註 (0) | 2020.09.20 |
적천수사례 110>격과 조화되지 않아 장애발생, 수다는 풍병조심 (0) | 2020.09.06 |
적천수사례 109> 초년은 부모덕으로 편안했고 부모운이 끝나면서 고생 (0) | 2020.08.30 |
적천수事例 107> 水金財官格 (0) | 202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