宗主命理 解說 事例 23
癸 癸 乙 戊
亥 卯 卯 午
辛 庚 己 戊 丁 丙
酉 申 未 午 巳 辰
한눈에 봐도 木이 강하다는 것이 드러나지만, 정확한 것은 지수의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수2.8 목7.5 화1.2 토0.3 금0이다. 극왕한 목이 식상에 해당하고 비겁이 뿌리가 있으면 食傷用比格에 해당하므로 특수격에 든다.
水용신이니 申子辰운동이 일어나야 발복하는 명조이다. 28세부터 36세 까는 좌표상으로 卯가 동하므로 운동성이 약해진 상황인데, 戊午대운을 맞이하여 감옥행으로 몰고 가는 형국이다. 戊午대운에 무계합하여 용신인 계수를 가져가기 때문이다. 속수무책의 상황으로 간다. 재물은 손쓸 수 없는 상태로 변하여 손재가 발생한 것이다. 어설픈 酉금으로 卯酉충을 하니 卯왕신이 노발대발하여 禍厄을 불러온다.
그러나 46세 이후는 좌표상으로 卯운동이 일어나 허자 酉금을 당겨오고 대운은 庚申 辛酉로 흘러가니 金水喜用이 임하여 원하는 바를 이루니 학문과 정치로 출세를 거두게 된다.
子卯형살로 수목이 응결되니 활동불능상태가 된다. 시주에 四大空亡이 걸렸으니 결과가 비극으로 끝날 수도 있다. 해묘반합으로 사대공망의 흉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다가 묘유충으로 공망의 흉액이 동한 것이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宗主命理 解說] <事例 25> (0) | 2022.06.05 |
---|---|
[宗主命理 解說] <事例 24> (0) | 2022.05.29 |
[宗主命理 解說] <事例 20> (0) | 2022.05.15 |
[宗主命理 解說] <事例 19> (0) | 2022.05.01 |
[宗主命理 解說] <事例 11> (0) | 202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