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日 月 年<事例 197>
癸 癸 戊 庚
丑 未 寅 戌
乙 甲 癸 壬 辛 庚 己
酉 申 未 午 巳 辰 卯
癸水生於立春二十六日, 正當甲木眞神司令, 而天干土金並透, 地支丑戌通根, 傷官雖當令, 而官殺之勢縱橫, 卽使傷敵殺, 而日主反洩, 況未能敵乎. 庚金雖是假神, 無如日主愛假憎眞, 用以庚金, 有兩歧之妙, 一則化殺官之强暴, 二則生我之日元時干, 比肩幫身, 又能潤土養金, 第中運南方, 生殺壞印, 奔馳不遇, 至甲申, 運轉西方, 用神得地, 得軍功, 飛升知縣, 乙酉更佳, 仕至州牧, 一交丙, 壞庚, 不祿.
癸水日主가 立春後 二十六日에 태어나니 바로 甲木이 眞神으로 司令을 한 것이 당연하나 天干으로 土金이 함께 透出하여 地支의 辰土와 戌土에 通根하니 官殺의 勢力이 縱橫無盡하여 傷官으로 對敵시키려 하나 日主의 氣運을 반대로 洩하고 오히려 對敵할 만한 能力이 없다. 庚金이 비록 假神이나 日主는 假神을 좋아하고 眞神을 싫어하여 경금을 用神으로 삼으니 두 가지의 妙함이 있다.
첫째는 官殺의 强暴함을 化하는 것이고, 둘째인즉 日主의 元神인 時干을 生하여 比肩이 日主를 돕고 또 能히 土를 潤澤하게 하여 金을 돕는다. 그러나 中年 大運이 南方이라 殺을 生하고 印星을 깨뜨리니 열심히 사는데도 機會를 잡을 수가 없었다.
甲申大運에 이르러 運이 西方으로 바뀌면서 用神이 得地하여 軍에서 功을 세우고 갑자기 知縣에 올랐다. 乙酉大運이 더욱 아름다워 벼슬이 州牧에 이르렀으나 한번 丙大運을 만나 庚金을 깨는 바람에 불행하게 되었다.
<譯評> 질긴 운명이다. 庚金이 용신이고 比肩인 癸水가 희신인 듯한데, ‘中運南方, 生殺壞印, 奔馳不遇라고는 하였으나 그래도 대운의 天干으로 庚/辛/壬/癸運으로 흘러 넘어졌다 일어났다하는 운명이었을 것이다. 말년 甲申/乙酉大運에 ’用神得地, 得軍功, 飛升知縣, 乙酉更佳, 仕至州牧‘이었으나, 丙大運에 용신인 庚金을 剋하여 不祿이 된 命主다.
심효첨은 격국론에서 食神格을 論食神장에서는, 이 食神은 본래 (일주를) 洩氣하는데 속하며, 그 기능은 正財를 생하는 것을 기뻐한다. 그러므로 ‘食神生財’는 美格이다. 재성은 뿌리가 있는 것이 중요하며 正/偏이 중첩되어 투출된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만약에 身强하면서 食神이 旺하고 財星이 투출하면 大貴의 格이 된다.고 하였으나 이 명조는 비록 四吉神 중에 하나인 食神格이지만 재성이 투출하지 못하였다. 다음은 取用論에서는 만약에 食神格에 印綬를 대동하면 財星이 투간하여 해결해야만 한다. 대운도 財旺運으로 흐르고 食傷運도 吉하며, 印星과 官煞은 모두 꺼린다.고 하여 역시 食神格을 破格으로 하는 印綬는 사주자체에도 없어야 하고 대운에서도 만나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中和用神論으로 이 명조는 年柱에 庚戌官印星이 있고 時干의 比肩星이 있어 印星이 相神이 된다.
계절을 중시하는 조후용신론으로는, 正月의 癸水는 三陽의 계절을 만나 雨露의 精髓가 된다. 그 성질이 지극히 柔軟하여 먼저 辛金을 써서 癸水의 水源池를 만들어야 한다. 다음으로 丙火를 써서 불로써 따듯하게 하며는 이름하여 陰陽이 和合하여 만물이 발생한다. 辛/丙 五行이 투출하면 金榜에 이름을 올린다.고 하였으나, 이 명조에는 사주원국에 丙火는 없고, 오히려 이 命主는 丙大運에 용신인 庚金을 剋하여 不祿되었다.
.
五行 | 水 | 木 | 火 | ⇦ 土 ⇨ | 金 | ||
天干 | 1.4 |
|
| 1 | 1 | ||
地藏干 | 時 | 2 | 계0.6 |
|
| 기1.2 | 신0.2 |
日 | 3 |
| 울0.3 | 정0.9 | 기1.8 |
| |
月 | 4.3 |
| 갑3.0 | 병1.3 |
|
| |
年 | 1.6 |
|
| 정0.2 | 무0.9 | 신0.5 | |
指數合算 | 2 | 3.3 | 2.4 | 4.9 | 1.7 |
.
時 日 月 年<事例 197>
癸 癸 戊 庚
丑 未 寅 戌
乙 甲 癸 壬 辛 庚 己
酉 申 未 午 巳 辰 卯
土體는 미달이 아니면 剋法取用이니 土體木水用組이고 戌未寅으로 건조가 심하니 水가 용신이 된다. 일간의 특수성보다 調侯가 우선하기 때문이다. 水가 용신이면 수를 도우는 金은 희신이 된다.
巳午未대운은 용신인 수를 剋傷하니 성공의 기회를 잡을 수가 없었다. 火는 기신으로 작용하니 돈 문제가 가장 큰 문제이다. 그리고 처첩의 문제이다. 재물로 인하여 고통을 받는 것이다. 財生殺하여 질병고가 따르고 손재가 따른다. 암장된 재가 많으니 여자로 인하여 戌未刑破가 생긴다. 寅未鬼問도 동하여 처첩의 문제로 한바탕 소란이 따른다. 미중에 정화가 있고 인중에 병화가 있어 바깥여자는 내 여자 같고 집에 있는 처는 남의 여자 같아 가정불화가 많았다.
용신을 살리는 申운부터 행운과 발전이 가능해진다. 관을 戊官을 쓰니 칼을 허리를 두르고 군에서 공을 세워 지방에 수령이 되었다. 戊戌이라는 성벽수비대장으로 있다가 벼슬운이 승승장구하여 乙酉대운에 주목에 올랐다. 용신인 금을 극상하는 丙戌대운에 경금은 화극금을 당하고 계수는 토극수를 당하니 불행이 겹치고 낙직하고 졸하였던 것이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천수 事例 201>政彖 (0) | 2021.10.03 |
---|---|
적천수 事例 198>政彖 (0) | 2021.09.26 |
적천수 事例 195>정단 (0) | 2021.09.12 |
적천수 事例 194>정단 (0) | 2021.09.05 |
적천수 事例 191>철학과 사상이 확고한 사람 (0) | 202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