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日 月 年<事例 190>
丁 戊 庚 乙
巳 戌 辰 亥
甲 乙 丙 丁 戊 己
戌 亥 子 丑 寅 卯
戊戌日元生于辰月巳時, 木退氣, 土乘權, 印綬重逢, 用官則被庚金合壞, 用食則官又不從化, 而火又剋金, 無奈何而用財, 又有巳時遙沖, 又不當令, 若邀庚金生助, 貪合忘生, 且遙隔無情, 所以起倒不一, 幸而財官尙有餘氣, 至乙亥運, 補起財官, 遂成小康
戊戌日主가 辰月 巳時에 태어나 木은 退氣이며 土가 權勢를 잡고 印綬는 지나치게 重疊되어 用神을 官星으로 하려는데 庚金에 合을 당하여 무너지고 食神을 用神으로 하려하니 官星 또한 化하는 것을 따르지 않고 火 또한 金을 剋하고 있어 財星을 用神으로 할 수 없으니 어찌할 것인가? 또 時支의 巳火는 멀리서 沖을 하고 있고 또한 當令도 하지 못하였으며 만약에 庚金에게 生의 도움을 요청하여도 合하려는 慾心에 生하는 것을 잊었으며 또 멀리 떨어져 無情하게 되었으니 바로 이러하므로 일어섰다 넘어졌다하기를 하나같지 않았다. 다행스럽게도 財星과 官星이 오히려 餘氣가 있어서 乙亥大運에 이르러 적은 정도의 便安함을 이룰 수가 있었다.
<譯評> 용신이 羈絆되었다. 특히 陰年生에 乾命이기에 逆大運 즉, 東北方向인 木水運으로 흘러 대운마저 도움이 되지 못한 命主다. 물론 巳時의 巳火中 庚金이 암장되어 있지만 거리가 너무 멀리 떨어져 庚金에 뿌리가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巳戌暗合에 의하여 불필요하게 일주만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대운 역시 天干으로 己/戊/丁/丙/乙/甲으로 흐르고 地支로도 五旬大運中 亥大運 이외에는 羈絆된 용신을 풀어줄 만한 대운이 들어오지 못하였다. 오직 이 명조는 西方大運인 金大運이 들어와 乙庚合으로 羈絆된 용신을 풀어야만 한다.
심효첨의 격국론에서는, 戊土日主가 辰月에 태어났기에 雜氣格으로 辰中 乙木이 年干으로 투출하여 定官格이다. 이 格 역시 四吉神중 하나인 正官이 食神과 합을 하여 破格이 되었다. 그렇다면 할 수 없이 辰中 戊土를 격용신으로 하여 祿劫格으로 이 격은 격국론에서, 建祿이라는 것은 月建이 祿堂을 만난 것이다. 祿은 곧 劫이다. 혹 祿堂이 투출한 즉, 그것을 쓸 것으로 여겨 써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建祿과 月劫은 동일한 格이다. 반드시 나눌 필요는 없으며, 모여 있는 地支에서 干支가 투출되면 모두 별도로 財/官/煞/食을 格相神으로 쓸 수 있다.고 하여, 陽干 일주와 陰干 일주를 구분하여 陽干은 陽刃格이라는 格을 부여하였지만 陰干은 建祿/月劫이라 地支에서 투출된 干支를 相神으로 찾아야 한다. 계속해서 말하기를, 祿格에 官星이 干頭에 투출되면 奇異하게 된다. 또 財星과 印綬가 서로 따르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고립된 官星이 보호를 받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官星이 있는데 印星이 보호한다던지, 官星이 있는데 財星이 돕는 것이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建祿/月劫格이 되면 地支에서 투출된 다른 五行神을 格相神으로 정한다. 그렇다면 이 명조는 관성격은 破格이 되어 쓸 수 없어 格相神으로 쓸 만한 오행이 없다. 물론 중화론으로는 食神이 용신이 되고 이 食神을 洩氣하는 財星이 희신이 된다.
계절을 중시하는 조후용신론으로는, 辰月의 戊土 일주는 司令을 하였기 때문에 마땅히 우선적으로 甲木을 제1용신하고, 辰宮에 戊/乙/癸가 작용을 하지만 乙木은 疏土하기가 불가능하여 甲木이 이(乙木)를 대신하여 疏土를 시킨 다음 癸水로서 보조용신으로 취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조후론은 甲木이 제1용신이고, 제2용신이 癸水가 되므로 이 명조와는 무관한 조후론이다. 물론 癸水보다는 壬水가 더욱 좋다. 조후론에서 癸水는 봄철에 농사를 짓기 위하여 壬水가 아닌 癸水를 용신으로 한 것이다.
五行 | 水 | 木 | 火 | ⇦ 土 ⇨ | 金 | ||
天干 |
| 1 | 1 | 1.1 | 1 | ||
地藏干 | 時 | 2 |
|
| 병1.2 | 무0.4 | 경0.4 |
日 | 3 |
|
| 정0.3 | 무1.8 | 신0.9 | |
月 | 4.4 | 계0.4 | 을1.3 |
| 무2.7 |
| |
年 | 1.6 | 임1.1 | 갑0.5 |
|
|
| |
指數合算 | 1.5 | 2.8 | 2.5 | 6 | 2.3 |
.
時 日 月 年<事例 190>
丁 戊 庚 乙
巳 戌 辰 亥
甲 乙 丙 丁 戊 己
戌 亥 子 丑 寅 卯
戊戌토가 독립성을 확보하여 지장간의 토가 건재한다. 巳中戊도 건재하고 辰中戊도 건재하니 지수는 수1.5 목2.8 화2.5 토6 금2.3이다. 토가 태왕하니 剋法取用으로 土體木水用組이고 그중에 亥수가 用神이고 亥中甲목이 眞用神이다.
재관이 길하니 선대는 부귀한 집안이었다. 그러나 아버지대에 와서 관재구설에 휘말려 곤궁에 처해진다.
갈수록 용신을 거슬리는 구조로 흘러가니 어려움이 많았다. 용신이 살아나는 乙亥대운에 임하면 비로소 풍족하고 여유 있는 생활이 가능해진다. 戌亥천문성에 용신이 비치니 관직을 얻으면 귀한 관직이다. 천라지망의 기가 중중하니 법을 다스리고 형벌을 집행하는 벼슬을 하게 된다. 간지동이고 고신의 기가 몸에 흐르니 고독감과 외로움이 항상 따라다닌다. 하는 업무는 괴강성에 뿌리를 두니 강한 리더십과 지도력을 발휘한다.
인성고를 가지고 있으니 남다르게 많은 지식을 습득하고 식신이 발달하여 실천력도 강하고 언변이 유창하고 날카롭다. 외모는 부드러우니 내면이 강한 외유내강의 스타일이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천수 事例 194>정단 (0) | 2021.09.05 |
---|---|
적천수 事例 191>철학과 사상이 확고한 사람 (0) | 2021.08.29 |
적천수 事例 179> 정단註 (0) | 2021.08.15 |
적천수 事例 177> 정단註 (0) | 2021.08.08 |
적천수 事例> 다시보는 적천수사례25 (0) | 202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