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어떤 사람이 길을 가다 목이 말라 나무통에 맑은 물이 흐르는 것을 보고 실컷 그 물을 마셨다.
물을 실컷 마시고는 손을 들고 나무통에 말하였다.
"이제 나는 실컷 마셨으니 물아, 다시 나오지 말아라."
이렇게 말하였으나 물은 여전히 흘러나왔다. 그는 화를 내며 다시 말하였다.
"이제 싫도록 마셨으니 다시 나오지 말라고 했는데 왜 여전히 나오는가."
어떤 사람이 그에게 말했다.
"너는 참으로 어리석어 지혜가 없구나. 왜 네가 떠나지 않고 물을 나오지 말라고 하느냐."
그리고는 곧 그를 다른 곳으로 끌어다 놓고 떠나 버렸다.
세상 사람들도 그와 같다. 생사의 애욕 때문에 다섯 가지 쾌락의 짠물을 마시다가
이미 다섯 가지 쾌락에 염증이 생기면 저 물을 실컷 마신 사람처럼 이렇게 말한다.
"너희들 빛깔과 소리와 냄새와 맛있는 것은 나는 다시 필요 없다."
그러나 그 다섯 가지 쾌락은 계속해 와서 끊이지 않는다. 그는 그것을 보고 화를 내어 말한다.
"너는 빨리 사라져 다시 생기지 말라고 하였는데 왜 와서 내가 보게 하느냐."
그때 어떤 지혜로운 사람이 그것을 보고 그에게 말했다.
"네가 그것을 떠나려고 하거든 마땅히 너의 여섯 가지 정(情)을 거두고,
그 마음을 닦아 망상을 내지 않으면 곧 해탈을 얻을 것이다.
그런데 왜 구태여 그것을 보지 않음으로써만이 그것이 생기지 않도록 하려 하는가."
그것은 마치 물을 마신 어리석은 사람과 다름이 없다.
'불교경전과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유경] 40. 대머리로 고민한 의사 (0) | 2021.05.13 |
---|---|
[백유경] 39. 남의 집 담벽 (0) | 2021.05.08 |
[백유경] 37. 소 떼를 죽여 버린 사람 (0) | 2021.04.28 |
[백유경] 36. 도인의 눈을 뽑아 온 대신 (0) | 2021.04.23 |
[백유경] 35. 거울 속의 자기(自己) (0) | 202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