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事例 210>政彖
時 日 月 年<事例 210>
丙 庚 辛 丙
子 辰 丑 辰
丁 丙 乙 甲 癸 壬
未 午 巳 辰 卯 寅
此造以俗論之, 以爲寒金喜火, 干透兩丙, 獨殺留淸, 推其木火運中, 名利兩全, 不知支中重重溼土, 年干丙火, 合辛化水, 時干丙火無根, 只有寒溼之氣, 並無生發之意, 只得用水, 不能用火矣. 所以初運壬寅癸卯, 制土衛水, 衣食頗豐, 至丙午丁未二十年, 妻子皆傷, 家業破盡, 削髮爲僧.
이 命造는 일반적으로 이야기해서 日主가 차가운 金이 되어 火를 반가워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두 개의 丙火가 透干하고 유일하게 殺이 하나 남아 맑아져서 미루어 짐작하면 木 ․ 火大運 중에 名譽와 富가 완전할 것이라고들 하였다. 地支로 濕土가 너무 많고 年干의 丙火는 辛金과 合을 하여 水로 化하고 時干의 丙火는 뿌리가 없고, 단지 차갑고 溼한 氣運만이 있으며 아울러 生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 전혀 없으니 오로지 用神은 水를 쓰고 火를 쓰는 것은 옳지 않음은 모르고 있다. 바로 이러하므로 初運 壬寅 癸卯大運에 土를 制하고 水를 保護하여 衣食이 자못 豐富하였다. 丙午 ․ 丁未大運 二十年間에 妻子가 모두 傷하고 家業은 깨져 살아져버리니 削髮하고 중이 되었다.
<譯評> 일단 중화용신법에서 용신을 정하기 위한 조건은 그 용신이 通根이 되는가? 부터 살펴야한다. 이 명조 역시 격국론으로는 混雜된 煞을 劫財인 辛金이 합을 하여 合煞留煞格으로 時上一位偏官격이라 격국론으로는 大貴格이 되었다.
심효첨의 격국론에 의하면 偏官格이다. 이 格을 定義하기를 煞이 있는데 官星이 섞이면 혹, 官을 제거하던지 煞을 제거하면 淸함을 취하여 貴格이 된다.고 하여 格自體를 大貴格으로 보았다.『滴天髓闡微』를 증주한 임철초의 명조<事例 142>가 격국론으로는 合官留殺格에 大貴格으로 분류한 명조이다. 그러나 증주자는 말년에 糊口之策으로 남의 사주를 嵌命하는 운명이었으며, 이 명주는 ‘至丙午丁未二十年’하여 ‘妻子皆傷’하고 ‘家業破盡’하여 ‘削髮爲僧’한 운명이 되었다.
계절을 중시하는 조후용신론에서는 12월의 庚金은 寒氣가 太重하고 또 濕한 진흙이 많고 (날씨의) 추위가 더욱 추워져 (땅의) 얼기가 더욱 얼어 먼저 丙火를 취하여 解凍을 시키고 다음으로 丁火를 취하여 煉金을 하고 甲木 역시 적으면 안 된다. 丙/丁/甲이 투출한 者는 科甲은 이루지 못하더라도 역시 은혜로운 영광이 있을 것이며, 丙火가 있고 丁火와 甲木이 없는 자는 부유한 가운데 귀함을 취할 수 있으며 丁火와 甲木이 있는데 丙火가 없는 者는 특별히 才人이 될 수 있으며, 丙火와 丁火가 있으며 甲木이 없는 者는 白手成家를 이룰 것이며 刀筆로 亨通함을 누리는 것은 金을 핍박하여 더욱 아름답기 때문이다. 혹 地支로 金局을 이루고 火氣가 없는 者는 僧道의 무리가 될 것이다.고 하여 오직 丙/丁/甲만 조후용신으로 쓰고 있다. 그러나 이 명조는 庚金日主 丑月生에 天干으로 丙辛合水化가 되고 地支로 온통 濕한 土이기에 결론적으로 傷官을 용신으로 하는 傷官生財格이 되었다.
.
五行 | 水 | 木 | 火 | ⇦ 土 ⇨ | 金 | |||
天干 | 2.7 |
|
| 1.3 |
| 1.4 | ||
地藏干 | 時 | 2 | 2 |
|
|
|
| |
日 | 3 | 계0.3 | 을⇨ |
| 무⇨ | 2.7 | ||
月 | 4.4 | 계1.3 |
|
| 기⇨ | 신3.1 | ||
年 | 1.6 | 계0.2 | 을0.5 |
| 무0.9 |
| ||
合算 | 13.7 | 3.8 | 0.5 | 1.3 | 0.9 | 7.2 |
時 日 月 年<事例 210>
丙 庚 辛 丙
子 辰 丑 辰
丁 丙 乙 甲 癸 壬
未 午 巳 辰 卯 寅
이 명조는 쟁점이 있는 사주이다. 다른 글에는 丙子년생으로 나온다. 丙辰년생이면 火가 용신이 된다. 적어도 丙子년생이어야 用神이 水가 된다. 金水로 反轉하는데 지나치게 음으로 쏠려 火가 용신이 되는 것이 마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가 용신이 되지 못하는 것은 殺地에 임하면 반전도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명주가 木火運에 패망하였다. 용신이 목화운에 사절이 되고 극상을 당하니 丙午 丁未운에 처자를 모두 잃고 가업이 파탄 나서 삭발하고 스님이 되었다.
유하의 별이 동하고 비겁이 재성의 인연을 멀리하고 관성이 절지에 임하여 가족의 인연은 갈수록 멀어져 갔다. 자신이 공망에 빠지니 허망함을 이기지 못하고 철학, 종교, 예술에 심취하여 갔던 것이다.
水用神을 剋傷하는 土가 가정사에 항상 장애로 작용하고 기신에 임한 처는 잔소리만 늘어간다. 가정에서 행복도 안정도 바랄수가 없었다.
[출처] 적천수 사례210 政彖|작성자 정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