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事例 169> 木體水用(食傷)
時 日 月 年<事例 169>
甲 癸 甲 癸
寅 亥 寅 亥
戊 己 庚 辛 壬 癸
申 酉 戌 亥 子 丑
此水木傷官, 喜其無財, 故繼志書香, 嫌其地支寅亥化木, 傷官太重, 難遂靑雲, 辛運入泮, 亥運補廩, 庚戌加捐出仕, 己酉戊申二十年土金, 生化不悖, 仕至別駕, 宦資豐厚.
이 命造는 癸水 日主가 傷官인 寅木이 月令을 잡고 반가운 것은 財星이 없음이라 그러므로 글공부의 뜻은 계속 가지고 있었다. 불만스러운 것은 地支가 寅木과 亥水가 合을 하여 木으로 化한 것으로 傷官이 너무 많아 靑雲의 꿈을 이루기가 어려웠다. 辛大運에 국립학교에 입학하고 亥運에 창고도 넉넉히 채우고 하여 庚戌 大運에 寄附金을 내고 벼슬길로 나아갔다. 己酉 ․ 戊申 大運 二十年間 土金으로 生하고 化하는데 어그러짐이 없어 벼슬이 別駕까지 이르렀으며 벼슬살이가 넉넉하고 餘裕가 있었다.
<譯評> 이 명조 역시 癸亥年 癸亥日과 甲寅月 甲寅時로 이루어져 水氣는 水氣대로 木氣는 木氣대로 一心同體가 된 명조이다. 하지만 이 역시 洩氣하는 木五行이 月令을 得하고 있어 日主인 水五行이 약하다는 것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심효첨의 격국론은 생략할 것이며,
계절을 중시하는 조후용신론으로는, 正月의 癸水는 三陽의 계절을 만나 雨露의 精髓가 된다. 그 성질이 지극히 柔軟하여 먼저 辛金을 써서 癸水의 水源池를 만들어야 한다. 다음으로 丙火를 써서 불로써 따듯하게 하며는 이름하여 陰陽이 和合하여 만물이 발생한다. 辛/丙 五行이 투출하면 金榜에 이름을 올린다.고 하였으나 이 명조에서는 金五行은 필요하나 火五行은 필요 없다. 일반적으로 격용신과 중화용신론은 용신과 희신이 상생구조를 이루는데 이 조후론은 오행의 상생을 보지 않고 오직 자연적 물질에 의해서 金/木/火/土/水 五材를 이용하여 우리 삶 주위를 그 달에 따르는 계절과 그 날에 따라 용신이 정해진다. 특히 요즘같이 농촌출신들이 별로 없는 상황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학문이다.
時 日 月 年<事例 169>
甲 癸 甲 癸
寅 亥 寅 亥
戊 己 庚 辛 壬 癸
申 酉 戌 亥 子 丑
토의 유인력이 없는 명조이니 지수계산이 용이하다.
五行 | 水 | 木 | 火 | 土 | 金 | |
天干 | 癸1.4 | 甲1.3 |
|
|
| |
地藏干 | 時 |
| 목1.4 | 병0.6 |
|
|
日 | 임2.1 | 갑0.9 |
|
|
| |
月 |
| 목3.0 | 병1.3 |
|
| |
年 | 임1.1 | 갑0.5 |
|
|
| |
指數合算 | 4.6 | 7.1 | 1.9 | 0 | 0 | |
指數狀態 | 극왕종주 |
|
|
| ||
取用法 | 木體水用(食傷) |
甲 癸 甲 癸
寅 亥 寅 亥
식상용비격이니 금수가 희용이다. 목화가 기신이니 목을 도우는 수운까지는 발복이 지지부진하다가 약신이 되는 금운 크게 발복한다. 체의 격은 비식격이고 용의 격은 인비격이다. 비식으로 흐르는 운에서는 생기가 없으니 주변의 환경에 순응하여 사는 것이 좋다. 그냥, 열심히 운동하고 봉사하고 베푸는 것이 운을 견디고 세월을 낚는 처방이다. 용의 격인 인비운으로 흐르면 잠용으로 비용으로 변하여 욱일승천하면 된다. 과감한 결단과 단호한 의지가 원하는바대로 정해진 방향성으로 나가면 명예와 부가는 저절로 찾아드는 것이다. 신운에 갑목을 조각하여 원하는 작품을 만들어내니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좋은 직장을 구하게 된다. 경술대운 돈을 버리고 인성을 살리면 처방을 내림으로써 행운이 찾아든다. 기부금을 통하여 벼슬로 나가 이어지는 용의 격인 인비격의 생기를 얻음으로써 벼슬길에서 승승장구하였다. 과거에는 한번 벼슬하면 인생이 결정되었다. 정체된 사회인데, 비하여 오늘날은 매우 역동적이어서 하루가 다르게 변한다. 과가명조풀이는 참고는 하되 시대성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