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강좌

적천수 事例 158> 金體木水用組

伯松金實根 2021. 6. 6. 08:00

時 日 月 年 <사례 158>

庚 戊 戊 庚

申 寅 寅 申

甲 癸 壬 辛 庚 己

申 未 午 巳 辰 卯

此兩殺逢四制, 幸春木得時乘令, 剋不盡絶, 至午運, 補土之不足, 去金之有餘, 登科擢縣令, 至甲申運, 又逢食制, 死于軍功.

이 命造는 두 개의 殺이 네 개의 制를 만나는데 다행스러운 것은 봄의 木이 季節의 月令을 얻어 剋을 받아도 모두 끊어져 없어진 것은 아니다. 午大運에 이르러 土의 不足한 것을 보호하고 金의 餘裕가 있는 것을 除去하니 科擧에 及第하고 縣令으로 발탁되었다. 甲申大運에 이르러 또 食神의 制를 만나 軍中에서 죽고 말았다.

<譯評> 옛날 나이로 六旬이 넘었으면 평균 수명을 넘은 것이다. 증주자는 어느 한 연구 논문에 의하면 93세까지 살았다니까 별별 사람들의 명조를 다 보았을 것이다. 오늘날도 흔치 않은 장수를 누린 것이다. 오운을 언급한 것을 보면 午火가 용신이 되고 이를 생하는 木五行이 희신이 된 듯하다. 申大運에 終命을 한 이유는 木旺節에 兩印木이 兩申金을 감당할 만 하였으나, 새로운 지원군이 申大運에서 들어오니 불행하게 된 命主이다.

이 명조도 격국론에 의하면 寅中 地藏干이 투출한 것이 없어서 正氣인 甲木을 일간에 대비하여 偏官格으로 정 할 수 있다. 이 편관격의 정의는 앞의 명조와 같으므로 생략하고, 편관격에 印星을 상신으로 하고 관성이 이 인성을 보조하는 구조가 되었다. 심효첨의『子平眞詮』의 取運論을 살펴보면 七煞格에 印綬을 相神으로 하는 경우 財星大運으로 흐르는 것은 불리하고 傷官運이 아름답고 印綬에 의해 身旺하면 함께 복록을 누릴 것이다.라고 하여 相神을 印綬로 할 경우 財星大運은 不利(財剋印)하고 傷官運은 有利(印生我, 我生食傷)하다고 하는 것은 일간을 위주로 간명한 것이 아니라 이 相神이 결정이 되면 그 상신을 파괴하는 대운으로 흐르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 더하여 중화론에서 주장하는 용신(격국론에서는 상신)이 정해지면 그 용신을 돕는 오행신이 희신이 된다는 개념이 없다. 때문에 이 명조를 설명하면서는 偏官을 쓴다는 언급은 없다. 결국은 偏官格에는 偏官이 相神이 될 수 없다.

계절을 중시하는 조후용신론으로는, 戊土日主는 正月과 二月을 함께 논하고 있다. 즉, 甲木과 癸水가 있고 만약에 丙火로 寒氣를 제하지 못하면 마치 만물이 태어나 자라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丙火가 없는 자는 부귀함을 이루기가 어렵다. 혹 丙火는 있고 甲木과 癸水가 없으면 이름하여 봄 가뭄이 들어 마치 만물이 태어났으나 많은 고통이 있는 것과 같다. 甲木과 癸水가 없으면 일생동안 勤苦하고 수고로움은 있으나 이룸이 없을 것이다. 혹은 한줄기의 丙火가 있고 甲木은 있으나 癸水가 빠지면 초년은 태평하나 말년은 否塞하다. 혹 地支로 火局을 이루고 壬/癸水가 보이지 않으면 중의 길을 가거나 고독하고 가난하다. 癸水가 투출하면 귀함이 있고 壬水가 투출하면 부자가 된다.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대부분 겨울철은 丙/丁火가 필수적이 여름철에는 壬/癸水가 필수적인 것이 조후론의 특징이다. 그러나 이 명조는 조후론에서 언급하는 오행은 사주원국에는 없다. 그러나 대운에서는 丙/丁火가 들어와 好運이 된 命主다.

 

時 日 月 年 <사례 158>

庚 戊 戊 庚

申 寅 寅 申

甲 癸 壬 辛 庚 己

申 未 午 巳 辰 卯

地水法에 의하면 화1.4 토2.8 금3.8 수1.1 목3.7이다. 金體火用組이나 火가 없어 不可하므로 金體木水用組이고 木이 용신이 되고 火는 藥神이 되므로 火木의 官印格에 해당한다.

火가 원국에 있었더라면 용신이 될 수 있었기 때문에 運에서 만나면 약신으로 작용하고 眞用神으로 작용하여 대발한다. 실제로 午대운에 임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현령으로 발탁되어 부귀를 누렸다. 그러나 寅申沖刑을 하고 있어 용신도 위태롭기 그지없다. 寅中에 丙화가 약신도 운이 지나면 영향력을 상실하므로 인신충형이 재현되는 申운에 용신의 본거지가 날아가고 寅중에 甲木관성도 인중에 병화인성도 허무하게 사라지고 만다. 실제로 甲申대운에 인신충살의 극을 당하니 군중에서 사망하였다. 指數體用으로 보는 것이 어려우면 象法體用으로 볼 수 있는데, 戊體이면 癸丙甲이고 寅月에 申금이 중중하여 癸수는 不用하고 丙甲을 眞用으로 取하는 것으로 봐도 木火運이 대길하고 금수운이 불길함을 알 수 있다.